-재활과학대학원 재활운동과학과는 최초 대구대학교 산업행정대학원 운동처방학과에서 2010년도에 시작된 학과로 재활운동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과이다.
가. 연혁
2010.03.01. 산업행정대학원 운동처방학과 신설
2021.02. 산업행정대학원 운동처방학과 폐과
2022.03.01. 재활과학대학원 재활운동과학과 신설
나. 교육목표
재활운동과학과는 다음 세부 교육목표를 가진다.
- 만성질환자의 건강증진 및 합병증 예방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처방사(국가 자격명: 건강 운동관리사) 양성 및 재교육
- 노인 및 신체기능 장애인의 기능 향상 운동을 담당하는 재활 운동 인력 양성 및 재교육
- 선수들의 운동 상해 예방과 재활 업무를 수행하는 선수 트레이너 양성 및 재교육
- 4차 산업혁명 대응,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건강관리서비스 운동전문 인력 양성
다.
다. 교수명단
김완수
연구실
053-850-6097
관심분야
임상운동처방
운동의학
신체활동역학
경력
아주대학교 의료원 순환기내과 연구강사(심장재활운동)
국가(문화체육관광부장관) 체육지도자(생활스포츠지도사/건강운동관리사)
대한심폐재활협회 심폐재활운동치료사
미국스포츠의학회 임상운동생리사(ACSM-CEP)(만성질환재활운동)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운동처방(Prescribing Exercise) 과정 이수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한국운동영양학회 상임이사,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부회장
전국보건소신체활동사업지도교수(총24개소:경기,충북,대전,충남,전북,경북/2000년~)
경기도/충청남도 운동처방 연수교육 책임교수(보건소운동담당자대상:5년/3년)
행정자치부 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 책임교수(전국보건의료직공무원대상:5년)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기획평가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평가단(2차:운동분야 책임 집필)
경기도 고혈압당뇨병광역교육센터 전문자문위원
경상북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건강행복추진기획단 공공보건의료분과위원회 위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 위원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표준화분과위원회(신체활동) 자문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건강운동관리사 심사위원(실기/구술)
보건복지부장관/경상북도지사/경기도지사/대한적십자사(경북지회장) 표창
김영복
연구실
053-850-6093
관심분야
보건교육·건강증진
지역사회건강증진
건강도시·건강증진대학
디지털헬스케어
알코올역학
경력
미국 UC 버클리대학교(UC Berkeley) 보건대학원 교환교수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예방연구센터(CDC PRC Berkeley) 객원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외래교수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회장
전국대학보건학교육협의회 회장, 한국보건학교육학회 회장
알코올과건강행동학회 부회장
보건복지부 보건교육사발전위원회 위원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조사 음주분과 자문위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보건교육사 국가시험 시험위원회 위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건교육사자격심의위원회 위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증진사업 평가위원
대구광역시 시민건강위원회, 공공보건의료위원회,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위원
경산시 행복도시위원회, 건강생활실천협의회 위원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이사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전덕훈
연구실
053-850-6096
관심분야
근골격계 재활운동학
통증재활
의료빅데이터
경력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미국 Ola Grimsby Institute 정형도수치료 박사과정 이수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 목 통증 및 편타성 손상 연구소 연구원
호주 퀸즐랜드 주 정부 건강/기능센터 전임 연구원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사회직업건강학과 교환 교수
호주 퀸즐랜드 사무직 근로자 목 통증 예방 운동 프로그램 연구원
호주 보건서비스혁신센터 교환연구원
한국연구재단 과제 책임 연구자(척추 건강 의료 빅데이터 분석)
부산 벡스코(BEXCO) 직원 대상 척추 건강 증진 프로그램 운영
BMC Sports Science, Medicine and Rehabilitation 저널 심사위원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심사위원
구분
교과목명
영문명
학점
시간
전공
논문작성법
Academic writing of thesis
3
3
연구방법 및 통계
Research Methods and Biostatistics
3
3
임상건강증진특론
Advanced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3
3
임상운동처방특론
Advanced Clinical Exercise Prescription
3
3
재활운동생리학특론
Advanced Rehabilitation Exercise Physiology
3
3
기능해부학특론
Advanced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3
3
임상운동검사특론
Advanced Clinical Exercise Testing
3
3
건강체력측정평가특론
Advanced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Fitness
3
3
재활운동심리학특론
Advanced rehabilitation sport psychology
3
3
운동상해특론
Advanced Atheletic Training
3
3
병태생리학특론
Advanced Pathophysiology
3
3
건강운동관리사세미나
Seminar for Exercise Specialist
3
3
선수트레이닝세미나
Seminar for Athletic Training
3
3
구분
과목명
교과목 개요
전공
논문작성법
본 수업은 글쓰기 과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과학적 글쓰기의 기초를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은 주로 논문을 작성하고 학술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에 중점을 둔다. 학생들은 글쓰기에 있어 효과적이고 간결하고 명확한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은 또한 실습을 통해 짧은 글을 작성하고 짧은 원고를 편집하고 선택적으로 자신이 선택한 원고를 개발하는 연습을 가진다.
연구방법 및 통계
건강증진분야에서 활용되는 주요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통계적 추론 방법 등을 학습한다. 통계실습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학습한다.
임상건강증진특론
임상 기반의 건강 문제와 건강위험 요소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개인 맞춤형 개입 전략을 학습한다. 건강 문제와 건강위험 요소에는 만성질환 및 흡연, 음주, 식생활, 신체활동 등의 건강위험 요소들이 포함된다.
임상운동처방특론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방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형태와 운동량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재활운동생리학특론
각종 만성질환자의 건강증진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질환 관리를 목적으로 1회적 운동과 규칙적 운동에 의한 반응 및 적응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기능해부학특론
신체 움직임과 관련된 골격근육계과 감각운동신경계, 그리고 뼈대계통의 상호작용과 운동역학적 원리에 대해 연구하며, 손상을 유발하는 운동학 및 운동형상학적 기전을 분석함으로써 상해를 예방하고 재활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임상운동검사특론
건강인뿐만 아니라 손상 후 재활 과정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심혈관계 및 근골계계통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과 검사 결과의 해석 기법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건강인의 잠재적인 위험도를 파악하거나 환자들의 손상 정도 및 회복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강체력측정평가특론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기반으로써 건강체력 및 신체기능과 관련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측정, 분석하는 기법을 연구함으로써 타당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재활운동심리학특론
본 수업은 스포츠심리학과 재활심리학의 심화과정으로 운동수행에 필요한 심리학적 요인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스포츠나 운동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격, 동기, 불안, 주의집중 같은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경쟁, 강화, 응집력등 사회심리적 요인을 극복하는 방안을 학습한다. 또한 운동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운동상해특론
본 수업은 스포츠상해의 특성과 부상부위를 파악하여 스포츠 손상예방에 필요한 지식을 학습한다. 운동별 특성과 생체역학 그리고 손상예방에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학습하여 과학적인 예방방법을 학습한다.
병태생리학특론
본 수업은 병태생리학의 심화과정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치료 및 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증상, 병리학적인 기전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질병과정의 기본 개념으로 염증, 감염, 면역의 기전에 대해 다루고, 인체 계통의 병태생리로 혈액 및 림프계,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비뇨기계의 주요 질환에 대한 병리과정에 대해 다룬다.
건강운동관리사세미나
만성질환자의 건강증진 및 합병증 예방 등을 위하여 의사 또는 한의사의 의뢰를 받아 운동 수행 방법을 지도ㆍ관리하는 국가 자격인 건강운동관리사 자격 취득 준비 및 업무 수행에 필요한 것들을 직업군별 특성에 대해 학습하는 과목이다
선수트레이닝세미나
각종 운동 현장에서 선수 트레이너에게 요구되는 손상의 진단 및 응급처치 능력 등에 대해 연구하며, 손상된 환자의 신경계, 근골격계, 뼈대계통의 회복을 위해 운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회심리 및 직업적인 회복을 위해 상담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적인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