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1. 학과소개
가. 연혁
1999.07.09. 석사학위과정 놀이치료전공 신설
2007.03.01. 재활과학과 놀이치료전공이 재활심리학과 놀이치료전공으로 학과 명칭 변경
나. 교육목표
-놀이치료를 통한 복지국가 구현에 필요한 인재양성
-놀이치료전문가들의 재교육을 통한 지도적 인격의 도야
-품위 있고 유능한 놀이치료 인력의 양성
다. 교수명단
김홍근 |
연락처 |
053-850-4331 |
|
|
|
|
관심분야 |
신경심리학 |
|
|
기능적 신경영상(fMRI) 연구 |
|
|
신경심리평가도구 개발 |
|
|
신경학/신경정신과적 질환 |
|
|
기억과정 |
|
|
|
|
경력 |
1985 – 1989 University of Chicago 심리학과 대학원 Ph.D 취득. 신경심리학 전공 |
|
|
1989 – 1991 University of Toledo 심리학과 Post-doc 연구원 |
|
|
1997 – 1999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외래교수 |
|
|
2004 – 2005 Duke University의 Center for Cognitive Neuroscience의 방문연구원 |
|
|
한국 실험심리학회 정회원 |
|
|
한국 임상심리학회 정회원 (임상심리전문가 No 202) |
|
|
한국 재활심리학회 정회원 (재활심리치료사1급 No 21) |
|
|
국제 신경심리학회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정회원 |
|
|
미국 심리학회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외국인회원 |
서귀남 |
연락처 |
053-850-4337 |
|
|
|
|
관심분야 |
아동의 심리부적응 |
|
|
부모-자녀 관계 |
|
|
부모교육 |
|
|
|
|
경력 |
대구대학교, 대구한의대, 대구사이버대학교 강사 역임 (2003~2018) |
|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교육연수위원장 |
|
|
한국재활심리학회 이사 |
|
|
한국상담학회 정회원 |
|
|
대구북부아동보호전문기관 자문위원 |
|
|
대구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사례관리 자문위원 |
|
|
놀이상담심리교육수련감독전문가(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구분 |
과목명 |
학점 |
시간 |
전공 |
재활과학론 |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
2 |
재활심리학특강 |
Advanced Rehabilitation Psychology |
2 |
|
발달정신병리학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2 |
|
놀이치료 |
Play Therapy |
2 |
|
아동심리진단Ⅰ |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Ⅰ |
2 |
|
아동심리진단Ⅱ |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Ⅱ |
2 |
|
집단놀이치료 |
Group Play Therapy |
2 |
|
임상실습및슈퍼비전Ⅰ |
Practice and Supervison Ⅰ |
2 |
|
가족놀이치료 |
Family Play Therapy |
2 |
|
놀이치료사례연구세미나 |
Seminar of case-study for play-therapy |
2 |
|
임상실습및슈퍼비전Ⅱ |
Practice and Supervison Ⅱ |
2 |
|
심리학개론 |
Introductory Psychology |
2 |
|
가족상담 |
Family Counseling |
2 |
|
예술매체실습및연구 |
Practicum and Theory of Art Materials |
2 |
|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
2 |
|
장애아동의이해 |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2 |
|
놀이치료관찰및실습 |
Play Therapy Observation and Practicum |
2 |
|
부모교육및상담 |
Parents Education & Counseling |
2 |
|
놀이치료실습및슈퍼비전 |
Play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 |
2 |
|
장애아동부모교육및상담 |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2 |
|
발달진단및심리평가 |
Developmental Diagnosis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
2 |
|
인지행동놀이치료 |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
2 |
|
정신분석적놀이치료 |
Psychoanalytic Play Therapy |
2 |
|
모래놀이치료 |
Sandplay Therapy |
2 |
|
심리진단및평가 |
Psychological diagnosis and evaluation |
2 |
|
보충 |
신경심리학 |
Neuropsychology |
3 |
이상심리학 |
Abnormal Psychology |
3 |
|
성격심리학 |
Psychology of Personality |
3 |
|
행동치료 |
Behavior Therapy |
3 |
|
상담심리학 |
Counseling Psychology |
3 |
|
발달심리학 |
Developmental Psychology |
3 |
|
가족치료 |
Family Therapy |
3 |
|
미술치료 |
Art Psychotherapy |
3 |
|
특수아심리 |
Psychology of Handicapped |
3 |
|
정신지체아심리 |
Psychology of Mental Retardation |
3 |
|
정서장애아심리 |
Psychology of Emotional Disturbed |
3 |
|
중복·지체부자유아심리 |
Psychology of Physically Handicapped |
3 |
|
개인및집단상담실습 |
Practicum in Counseling |
3 |
|
실험설계및연구방법 |
Advanced Study of Psychology |
3 |
|
상담및심리치료실습 |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3 |
|
아동심리검사이론및실습 |
Practicum of Child Psychological Testing |
3 |
|
성인심리검사이론및실습 |
Practicum of Adult Psychological Testing |
3 |
|
단일대상연구 |
Single subject research |
3 |
|
연구 |
개별연구지도 |
Independent Research |
1 |
과목명 |
교과목해설 |
재활과학론(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
장애인 재활의 기본 이론인 재활의 기초(재활의 개요, 재활프로그램의 발달, 재활과정) 재활대상자(장애유형별 재활, 장애인의 심리와 직업적응), 재활방법(케이스워크 방법, 평가기술, 상담방법)등을 이해한다. |
재활심리학특강(Advanced Rehabilitation Psychology) |
기능적, 사회심리적, 행동적인 각종 치료활동에 있어서 환자의 심리적 재활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법을 다룬다. 심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재활과 재활전문가의 역할 등을 함께 탐색한다. |
발달정신병리학(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아동의 발달과정상 나타나는 정신병리적 행동을 치료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병리적 행동별로 원인과 지속성, 예후에 미치는 변인들을 다양한 맥락으로 연구한다. |
놀이치료 (Play Therapy) |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놀이치료 치료과정과 치료기법 및 사례를 통해 놀이치료에 대한 기본 지식과 놀이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
아동심리진단Ⅰ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Ⅰ) |
이상행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치료를 시도할 수 있도록 발달, 지능, 성격 검사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으로 익힌다. |
아동심리진단Ⅱ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Ⅱ) |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심리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어려운 아동들을 대상으로 놀이평가를 통한 아동의 이해를 도모하고 놀이치료와 관련된 구체적인 평가방법을 익힌다. |
집단놀이치료 (Group Play Therapy) |
집단상담과 심리치료를 기초로 하여 집단놀이치료의 기법과 역동성을 연구하고 실습한다. |
임상실습및슈퍼비전Ⅰ (Practice and Supervison Ⅰ) |
학생 개인별로 사례를 선정하여 실습을 하고 놀이치료 전문가의 지도 감독을 받는다. |
가족놀이치료 (Family Play Therapy) |
가족 간의 관계 맥락에서 아동의 병리적 행동을 접근하는 방법과 치료기법에 관해 연구하고 실습한다. |
놀이치료사례연구세미나 (Seminar of case-study for play-therapy) |
놀이치료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분석과 학생들이 실시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한다. 치료목표의 설정, 진행방법, 기법의 사용, 종료에 대한 분석을 한다. |
임상실습및슈퍼비전Ⅱ (Practice and Supervison Ⅱ) |
학생 개인별로 사례를 선정하여 실습을 하고 놀이치료 전문가의 지도 감독을 받는다. |
심리학개론 (Introductory Psychology) |
심리학이란 학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심리학의 개론적 내용을 학습한다. 생리, 발달, 감각과 지각, 학습, 인지, 동기와 정서, 성격, 정신건강 및 임상 등 다양한 심리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을 통해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이해하는 개인적 틀을 발달시켜 나간다. |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
핵가족 사회의 가족에 대해 조망해 보고,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상담의 다양한 이론적 접근들을 고찰해본다. 동시에 가족상담의 과정에서 만나게 될 특수한 유형의 가족에 대해 공부하고, 가족상담자로서의 역할도 익힌다. |
예술매체실습및연구 (Practicum and Theory of Art Materials) |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예술매체의 치료적 요인과 개입 방법 등을 연구하고 재활 및 놀이심리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한다.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
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기본 철학, 절차 및 결과의 해석, 연구의 윤리 등에 대한 원리를 다루며, 연구논문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또한 연구문제 선정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관련된 절차를 단계별로 학습하여 연구의 독자적 수행을 위한 기초능력을 습득한다. |
장애아동의이해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관련법, 장애아동의 정의 및 특성, 진단방법, 중제방법, 교수방법 및 전략, 지원환경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때 좀 더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놀이치료관찰및실습 (Play Therapy Observation and Practicum) |
놀이치료 관찰 및 실습은 놀이치료실 현장과 전반적인 놀이치료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실습과정이다. 이 과정은 놀이치료 실습 및 슈퍼비전을 위한 필수적인 사전교육과정으로서, 놀이치료사의 역할과 놀이치료 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
부모교육및상담 (Parents Education & Counseling) |
부모됨 및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바람직한 부모역할 탐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이론 및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발달단계별 부모역할 및 장애유형과 가족유형에 따른 부모상담을 알아본다. |
놀이치료실습및슈퍼비전 (Play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 ) |
놀이치료 실습 및 슈퍼비전은 전공필수 4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여야 한다. 본 과정은 직접 아동평가 및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개별 및 집단 슈퍼비전을 받는 과정이다. 이 실습과정은 다음의 내용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하며, 실습을 완료한 자는 실습장소, 시간 및 실습내용 및 놀이심리분과 위원회에서 인증된 슈퍼바이저의 서명이 담긴 실습확인서를 받아두어야 한다. |
장애아동부모교육및상담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아동의 가족과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장애아동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이 속한 가족에 대해 이해하고, 가족 특성에 따른 지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장애아동이 속한 가장 중요한 환경인 장애아동 가족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발달재활서비스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가족지원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현장에서 장애아동 가족지원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발달진단및심리평가 (Developmental Diagnosis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아동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와 측정방법들을 학습한다.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면접, 행동관찰, 심리검사라는 심리평가 방법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동의 발달수준에 대해 인지, 정서, 사회성, 성격, 신경심리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습득한다. 또한 이 과정을 실제로 실시하고, 채점하며,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고, 진단적 평가를 위한 평가 자료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
인지행동놀이치료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
인지행동치료(CBT)의 기본원리, 이론적 배경 및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배우고, 이를 아동에게 적용하고 실시하는 인지행동놀이치료(CBPT)에 대해 학습한다. 인지행동놀이치료를 통해 문제해결 중심 접근과 증거기반 접근을 이해하고, 목적지향적 구조화 모듈을 구성하여 내담자 행동특성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정신분석적놀이치료 (Psychoanalytic Play Therapy) |
전통적인 심리치료 기법인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병리적 행동을 연구하고 실습한다. |
모래놀이치료 (Sandplay Therapy) |
모래놀이치료의 기본 개념과 주요 이론을 익히고, 모래놀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상징의 의미를 이해한다. 또한 사례분석 및 실습을 통해 모래놀이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심리진단및평가 (Psychological diagnosis and evaluation) |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추론 및 예측하기 위한 일련의 전문적인 과정을 학습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