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1. 학과소개
인간중심주의의 정신적 기반 위에 언어장애인을 우리라는 공동체적 인식을 가지고 그들의 언어문제를 해결하여 장애인의 복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문 언어치료사를 양성하는 데 교육의 기반을 두고 1992년도에 신설되었다.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애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장애인이 가지는 문제 가운데 핵심적인 언어장애에 대한 부단한 연구가 요청되고 있는 점에 인하여 재활과학대학원의 진학을 통해 계속적인 학문탐구를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개설되어있다.
가. 연혁
2000년대
2009년 재활과학대학 경산캠퍼스 이전
1990년대
1998년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박사과정 설치
1997년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석사과정 설치
1992년 재활과학대학원 개교 및 언어치료전공 석사과정 설치
1980년대
1989년 청능언어재활과학과를 언어치료학과로 변경
1988년 청능언어재활학과 신입생 입학
1987년 재활과학대학 설립
1987년 청능언어재활학과 인가
나. 교육목표(교육내용)
언어치료학은 적용대상이 어린 아동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폭 넓고, 원인이나 증상이 매우 다양한 언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진단과 치료 및 교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교수/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분야는 재활과학의 최신 학문 영역으로 대학과정에서 이수한 과목을 더욱 심화시킴은 물론 그 외에도 심리학적, 신경학적 및 생리학적 측면에서 강화된 대학원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보다 질높은 언어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설 운영한다.
다. 교수명단
최양규 |
연구실 |
053-850-4323 |
|
|
|
|
관심분야 |
말과학 (음성과학) |
|
|
말소리 지각, 청지각 |
|
|
음성분석 및 평가 |
|
|
보완대체의사소통(AAC) |
|
|
연구방법론 |
|
|
|
|
경력 |
대구대학교 장애진단평가센터 소장 |
|
|
재활과학원 재활임상센터 언어임상부장 |
|
|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사 |
|
|
한국음성과학회이사 |
|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이사 |
|
|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 관장 |
김화수 |
연구실 |
053-850-4324 |
|
|
|
|
관심분야 |
행복한 의사소통 |
|
|
건강한 의사소통 |
|
|
언어발달장애 |
|
|
언어발달과 뇌과학 |
|
|
전생애적 조망으로서의 의사소통지원 |
|
|
읽기쓰기 언어처리 |
|
|
이중언어발달 |
|
|
|
|
경력 |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조교 |
|
|
연세대학교, 단국대학교 강사 |
|
|
명지대학교 대학원 및 루터대 언어치료학과 교수 |
|
|
가톨릭대학교 강남(서울)성모병원 재활의학과 언어치료사 |
|
|
김화수언어인지연구소 대표 |
|
|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및 한국한부모가정학회 학회장 |
|
|
한국언어장애전문가협회 및 사단법인 한국언어재활사협회 부이사장 |
|
|
대구대학교 학생행복지원단장 |
|
|
대구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장 |
|
|
재활과학원 진단평가센터장 |
|
|
현재, 대한구순구개열학회 부회장 |
|
|
현재, 한국언어치료학회이사 |
|
|
현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이사 |
|
|
현재, 한국학습상담학회이사 |
|
|
현재, 한국발달장애학회이사 |
|
|
현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이사 |
|
|
현재, 한국산재보험학회이사 |
|
|
현재,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문화포럼 위원 |
김정완 |
연구실 |
053-850-4325 |
|
|
|
|
관심분야 |
백질변성 |
|
|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의 언어 및 인지능력 |
|
|
급성기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체 길이 검사 및 선별평가 |
|
|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평가 및 중재 |
|
|
정상적 노화와 의사소통 |
|
|
신경학적 음성장애 환자의 평가 및 치료 |
|
|
어휘인출 장애 중재에 따른 뇌활성화 및 네트워킹 분석 |
|
|
|
|
경력 |
한림대, 나사렛대, 명지대, 우송대 등 외래교수 |
|
|
밝은세상 소아청소년정신과 부설 아이맘 발달센터 언어치료사 |
|
|
서울시립병원(은평) 정신과 언어치료사 |
|
|
한림대학교의료원 한강성심 재활의학과 언어치료사 |
|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연구원 |
|
|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사 |
|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이사 |
하지완 |
연구실 |
053-850-4327 |
|
|
|
|
관심분야 |
말소리장애 |
|
|
말실행증 |
|
|
마비말장애 |
|
|
실어증 |
|
|
의사소통장애인의 뇌기능 및 뇌활성화 |
|
|
원격 언어재활서비스 플랫폼 구축 |
|
|
인공지능 기반 발화데이터 분석 |
|
|
한국형 전자구개도(K-Electropalatography) 개발 |
|
|
|
|
경력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
|
|
고려대학교 의료원(안암병원) 재활의학과 언어재활사 |
|
|
나사렛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한림대학교 외래교수 |
|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상임이사 |
|
|
한국음성학회 상임이사 |
|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상임이사 |
|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부협회장 |
|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부편집위원장 |
|
|
말소리와 음성과학 편집부위원장 |
|
|
언어치료 플랫폼 토키토키 개발자 |
|
|
통계청 한국표준건강분류 자문위원 |
|
|
보건복지부 1급 언어재활사 자격증 소지 |
|
|
Emerson College (Boston) Aphasia & Motor Speech Disorders 과정 연수 |
허승덕 |
연구실 |
053-850-4326 |
|
|
|
|
관심분야 |
청각전기생리학 |
|
|
청각재활 |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간 |
|
전공 |
단일대상연구법(1) |
Single-subjects research(1) |
1 |
1 |
삼킴장애 세미나 |
Seminar in swallowing disorder |
1 |
1 |
|
언어재활관찰(1) |
Observation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1) |
1 |
1 |
|
언어재활실습(1) |
Clinical practicum(1) |
1 |
1 |
|
언어재활현장실무(1) |
Clinical Management in SLP's field(1) |
1 |
1 |
|
말과학 세미나 |
Seminar in Speech Science |
2 |
2 |
|
말운동장애 세미나 |
Seminar in Motor Speech disorder |
2 |
2 |
|
발달장애아특강 |
Advanced study of Therapy of Developmental Disorders |
2 |
2 |
|
보완대체의사소통 세미나 |
Seminar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2 |
2 |
|
신경언어장애 세미나 |
Seminar in Neuro-Speech Disorders |
2 |
2 |
|
언어발달장애 세미나 |
Seminar in Advanced study of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 |
2 |
2 |
|
언어발달장애특강 |
Advanced study of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 |
2 |
2 |
|
유창성장애 세미나 |
Seminar in Advanced Study of Fluency Disorder |
2 |
2 |
|
의사소통장애연구방법론 |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ology |
2 |
2 |
|
음성장애 세미나 |
Seminar in Advanced Study of Voice Disorder |
2 |
2 |
|
자폐범주장애언어재활 세미나 |
Seminar in Language rehabilit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
2 |
2 |
|
조음음운장애 세미나 |
Seminar in Advanced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
2 |
2 |
|
청각학 세미나 |
Seminar in Audiology |
2 |
2 |
|
후두적출자재활특강 |
Advanced study of Rehabilitation Laryngectomees |
2 |
2 |
|
노인인지-의사소통장애 |
Geriatric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비논문 학위 보충 교과목) |
3 |
3 |
|
지적장애언어재활 세미나 |
Seminar in Language Interven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비논문 학위 보충 교과목) |
3 |
3 |
|
학습장애언어재활 세미나 |
Language Rehabilitation of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
3 |
3 |
|
보충 |
구개열언어재활 세미나 |
Seminar in Cleft Palate |
3 |
3 |
기호언어장애치료 |
Language Disorder |
3 |
3 |
|
뇌성마비언어재활 세미나 |
Seminar in Cerebral Palsy |
3 |
3 |
|
대뇌생리학 |
Physiology of Brain |
3 |
3 |
|
말과학 |
Speech Science |
3 |
3 |
|
말더듬치료 |
Stuttering |
3 |
3 |
|
실어증치료 |
Aphasia |
3 |
3 |
|
실험음성학 |
Experimental Phonetics |
3 |
3 |
|
언어기관해부생리 |
Anatomy & Physiology of Speech Organs |
3 |
3 |
|
언어발달 |
Language Development |
3 |
3 |
|
의사소통장애개론 |
Introduction to Speech Pathology |
3 |
3 |
|
의사소통장애진단평가 |
Diagnosis of communication disorders |
3 |
3 |
|
음성장애치료 |
Voice Disorders |
3 |
3 |
|
임상심리학 |
Clinical Psychology |
3 |
3 |
|
조음장애치료 |
Articulation Disorders |
3 |
3 |
|
청각장애언어재활 세미나 |
Seminar in language Interven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3 |
3 |
|
청각학개론 |
Introduction to Audiology |
3 |
3 |
|
행동수정 |
Behavior Modification |
3 |
3 |
|
연구 |
개별연구지도 |
Independent Research |
1 |
1 |
구분 |
과목명 |
교과목 개요 |
공통 |
단일대상연구법 |
언어치료에서 단일 대상자 연구에 이용되는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직접적인 사례와 실험을 통해 다양한 단일 대상자 연구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
말운동장애 세미나 |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비말장애와 말실행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
|
발달장애아특강 |
발달적인 측면에서 장애를 다루며, 기능적인 언어장애인들에 관한 토의를 중점으로 한다. |
|
신경언어장애특강 |
대뇌생리학과 언어와의 관계, 신경학적 병리와 언어와의 관계를 앎으로서 언어장애자들의 잔단 치료에의 응용을 돕는다. |
|
언어과학특강 |
구어산출 메카니즘에 관한 기능적인 신경해부학을 기초로 구어음향학과 구어인지 등에 관하여 다룬다. |
|
언어임상관찰및실습 |
언어치료의 직접적인 치료를 실습한다. 치료계획서 작성, 진단보고서 작성, 진전보고서 작성 등을 다루며, 실제치료와 계획과의 차이, 치료기법의 선택 및 적응에 대한 이론적 근거 등을 토의한다. |
|
언어장애특강 |
화용론, 구문론, 의미론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언어장애 양상을 파악하고 치료중재에 대해 토의한다. |
|
언어재활현장실무 |
언어재활사의 직무와 윤리의식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언어재활현장의 실무감각을 익힌다. |
|
언어치료통계학 |
언어치료에 관련된 전문 논문을 이해하고 언어치료 연구방법과 자료의 통계적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
|
연구방법및통계 |
언어치료를 정보 공학에 접목하여 새로운 치료방법과 연구방법을 개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토론하고 연구한다. |
|
전공 |
노인 인지-의사소통장애 |
노인 말-언어 병리학에서의 학생 교육에 대한 차원과 임상적 훈련을 다루고, 특히 노인의 인지-의사소통장애 파악 및 전문가적 중재와 관련된 임상적 훈련의 폭넓은 연습을 다룬다. |
유창성장애 세미나 |
말더듬 치료에 대한 방법들과 이론들 및 이러한 이론들간의 차이점과 실제, 말더듬치료에서 응용 및 치료 실제들을 다룬다. |
|
음성장애특강 |
음도, 강도, 음질 등의 측면에서 음성에 문제가 있는 사람 및 식도언어 등을 다룬다. |
|
조음음운장애 세미나 |
말소리산출에 어려움이 있는 조음음운장애의 특성에 대해 공부하고, 원인, 관련 요인, 진단평가, 치료법 등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
|
지적장애언어재활세미나 |
지적장애아의 분류와 언어특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언어지체아의 언어 및 인지 진단 방법과 치료방법을 연구 및 지적장애의 언어치료에 필요한 치료사의 인격을 함양한다. |
|
청각재활학 |
청각장애로 인한 언어장애의 재활에 관하여 기본되는 지식과 청각장애의 특성, 청각과 언어와의 관계, 보청기, 청력검사 등에 관하여 심도있게 다루며, 이러한 것들에 대한 지식을 언어치료에 응용하는 방법을 토의한다. |
|
후두적출자재활특강 |
후두적출로 인해 초래되는 언어장애와 신체 변화를 전반적으로 다루며, 음성 및 언어재활에 대해 토의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