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1. 학과소개
장애인의 재활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직업적·경제적 가용능력을 최대한 회복시켜 장애인이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비장애인과 동일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있다. 장애인들의 직업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직업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뒤따라야 한다. 장애인의 직업 욕구와 개인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지며, 장애인의 직업 능력과 사업장 환경 등에 대한 직업 평가를 실시하고, 개인의 욕구와 필요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별화된 직업 재활 계획서 또는 고용 계획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 개별화된 계획서에 따라 직업 적응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거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훈련을 실시하게 되며, 보호고용이나 지원 고용과 같은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과정은 다양한 직업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자질을 갖춘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직업재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적 소양을 갖춘 직업상담사, 직업평가사, 직업훈련교사 등의 전문인을 배출하고자한다.
가. 연혁
2014년
14대 학장 최양규 박사 취임
2013년
설립 25주년 기념 "제자사랑 장학기금 조성사업" 실시
2012년
13대 학장 권혁철 박사 취임
2009년
재활과학대학 경산캠퍼스로 이전
2008년
11대 학장 송영혜 박사 취임
2006년
10대 학장 강수균 박사 취임
2004년
9대 학장 권도하 박사 취임
2003년
재활과학과를 재활공학과로 명칭 변경
2003년
교육부 특성화 재정지원사업 시행
2002년
8대 학장 박래준 박사 취임
2001년
미국 Florida 대학과 자매결연
2000년
7대 학장 이상욱 교수 취임
1999년
재활, 특수교육분야 BK 21사업 유치
1998년
6대 학장 김동연 박사 취임
1998년
국제재활과학연구소 개소
1997년
재활테크노사업단 운영
1997년
재활과학과(정원 40명)신설, 심리치료학과를 재활심리학과로 명칭 변경
1997년
대학원 재활과학과 박사과정 신설
1996년
5대 학장 석동일 박사 취임
1994년
4대 학장 배성수 박사 취임
1994년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소 개소(학술진흥재단중점사업 연구소로 선정)
1992년
3대 학장 강위영 박사 취임
1990년
2대 학장 강위영 박사 취임
1990년
심리요법학과가 심리치료학과로 명칭 변경
1990년
재활과학대학원 석사과정 설치인가 (재활과학과 4개 전공 정원 45명)
1980년대
1989년
직업재활과학과가 직업재활학과, 청능언어재활학과가 언어치료학과, 물리요법학과가 물리치료학과로 명칭변경
1988년
초대학장 이규식 박사 취임
1987년
재활과학대학 설립(직업재활과학과 40명, 청능언어재활과학과 40명, 물리요법학과 40명, 심리요법학과 40명)
나. 교육목표
- 직업재활분야의 다양한 전문인 양성
1) 직업재활 과정에 있어서 폭 넓은 지식과 자질을 갖춘 직업재활 전문(상담)가를 양성
2) 직업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장애인의 성취수준, 직업능력, 자질을 파악하는 직업평가 전문가 양성
- 재활 영역에 있어서 폭넓은 경험을 갖춘 재활전문가 양성
1) 실습을 통한 임상경험 확보
2) 학과내에 특강을 실시하여 이론적 지식 및 경험을 제공
다. 교수명단
이달엽 |
연구실 |
053-850-4314 |
|
|
|
|
관심분야 |
직업평가 |
|
|
직업평가도구개발과 표준화 |
|
|
비폭력위기중재 |
|
|
의료재활 |
|
|
산재장애인의 고용 및 재활 |
|
|
|
|
경력 |
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이사 |
|
|
한국직업재활학회 회장 |
|
|
한국직업평가학회 회장 |
나운환 |
연구실 |
053-850-4311 |
|
|
|
|
관심분야 |
재활행정 및 정책, 상담 |
|
|
|
|
경력 |
한국직업재활사협회 회장 |
|
|
한국직업재활학회 회장 |
|
|
(사)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회장 |
|
|
(사)대구직업재활협회 이사 |
|
|
(사)가은누리 이사 |
|
|
RI Korea 부의장 |
|
|
세계 RIF 이사 |
|
|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조정위원회 실무위원 |
|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운영위원 및 자문위원 |
|
|
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촉진위원 |
|
|
국가인권위원회 |
|
|
노동부 자문위원 |
|
|
국토해양부 재활시설운영위원회 의원 |
|
|
행정안전부 광역자치단체 평가위원 |
|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이동편의 증진위원 |
조성재 |
연구실 |
053-850-4315 |
|
|
|
|
관심분야 |
장애인상담 |
|
|
장애인정책 |
|
|
시각장애인 전자도서개발 |
|
|
시각장애인 고용 및 재활 |
|
|
|
|
경력 |
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
|
|
한국시각장애교육, 재활학회 편집위원 |
|
|
근로복지공단 재활상담 수퍼바이저 |
|
|
Good Job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
|
|
평가도구 개발 자문위원 |
|
|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 연구회 연구위원 |
|
|
한국직업재활학회 상임이사 |
|
|
한국직업재활학회 편집위원 |
|
|
남해장애인종합복지관 자문위원 |
|
|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장 |
|
|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책자문위원 |
박정식 |
연구실 |
053-850-4316 |
|
|
|
|
관심분야 |
전환교육 |
|
|
직업교육 |
|
|
장애인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
|
|
|
|
경력 |
한국직업재활학회 이사 |
|
|
한국장애인고용안정위원회 위원 |
|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상임이사 |
|
|
RI Korea 직업분과 위원 |
|
|
대구 새길직업전문학교장 |
|
|
K-PACE 센터 소장 |
구분 |
교 과 목 |
학점 |
시간 |
|
연구 |
개별연구지도 |
Independent Research |
1 |
1 |
공통 |
재활과학론 |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
2 |
2 |
재활심리학특강 |
Advanced Rehabilitation Psychology |
2 |
2 |
|
전공 |
연구방법및통계 |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s |
2 |
2 |
직업재활특강 |
Topics in Vocaional Rehabilitation |
2 |
2 |
|
장애인재활및복지특강 |
Advanced study of Social Rehabilitation for the Handicapped |
2 |
2 |
|
재활의학특강 |
Advanced study of Medical Rehabilitation |
2 |
2 |
|
직업재활상담 |
Advanced study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
2 |
2 |
|
직능평가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Vocational Assessment in Vocational Adjustment |
2 |
2 |
|
성인장애인직업교육과추수지도론 |
Vocational Education and Followup Service for the Adult Disabled |
2 |
2 |
|
장애인고용대책론 |
Policy of Employment for the Handicapped |
2 |
2 |
|
직업재활연구 |
Research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2 |
2 |
|
직업재활방법특강 |
Advanced Study of Methodology of Rehabilitation |
2 |
2 |
|
직업재활세미나 |
Semina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2 |
2 |
|
장애인사회교육론 |
Advanced study of social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
2 |
2 |
|
장애인직업·진로지도 |
Career Education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y |
2 |
2 |
|
전환교육연구 |
Transition Education Seminar |
2 |
2 |
|
직업교육 세미나 |
Vocational Education Seminar |
2 |
2 |
|
직업재활시설과프로그램 |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Operations and programs |
2 |
2 |
|
보충 |
직업재활상담 |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
3 |
3 |
장애아직업전교육 |
Pre-vocational Preparation for the Handicapped |
3 |
3 |
|
재활상담과 사례관리 |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case management |
3 |
3 |
|
재활심리학 |
Rehabilitation Psychology |
3 |
3 |
|
장애아심리및검사 |
Psychologyand Testing of the Handicapped |
3 |
3 |
|
중증장애인의재활 |
Rehabilitation of the Severely Handicapped |
3 |
3 |
|
산업교육및훈련 |
Industrial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Disabled |
3 |
3 |
|
직업재활개론 |
Introduc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
3 |
3 |
|
직업재활방법론 |
Methodolog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
3 |
3 |
|
교육및직업재활실습 |
Student Teaching and Practicum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3 |
3 |
|
직업평가및상담 |
Vocational Assessment and Counseling |
3 |
3 |
|
보호및지원고용 |
Sheltered and Supported Employment |
3 |
3 |
|
의료재활 |
Medical Rehabilitation |
3 |
3 |
|
재활정책론 |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
3 |
3 |
|
장애아진단및평가 |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disabilities |
3 |
3 |
|
직업적응훈련 |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
3 |
3 |
|
장애인직업진로지도 |
Career Education for the Disabled |
3 |
3 |
|
재활실습 |
Practicum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3 |
3 |
|
직업개발및배치 |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
3 |
3 |
|
전환교육 |
School to adult life transi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3 |
3 |
|
노동법규 |
Labor law |
3 |
3 |
|
독립생활재활 |
Independent Living Rehabilitation |
3 |
3 |
|
직업재활시설과프로그램 |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Operations and programs |
3 |
3 |
|
직업재활연구 |
Research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3 |
3 |
|
통합재활론 |
Total rehabilitation |
3 |
3 |
|
직업상담론 |
Vocational Counseling |
3 |
3 |
|
미생물학실험 |
Microbiology Laboratory |
3 |
3 |
과목명 |
교과목 개요 |
연구방법및통계 |
재활에 관련된 전문 논문을 이해하고, 재활과학연구의 방법과 각종 자료를 통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하여 여러가지 통계방법과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재활과학론 |
장애인 재활의 기본이론인 재활의 기초(재활의 개요, 재활프로그램의 발달, 재활과정) 재활대상자(장애유형별 재활, 장애인의 심리와 직업적응) 재활방법(케이스워크 방법, 평가기술, 상담방법)등을 이해한다. |
재활심리학특강 |
기능적, 사회심리적, 행동적인 각종 치료활동에 있어서 환자의 심리적 재활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법을 다룬다. 심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재활과 재활전문가의 역할 등을 함께 탐색한다. |
성인장애인직업교육과추수지도론 |
성인장애인을 위한 직업교육프로그램, 직업재활 훈련 프로그램, 직장배치, 추수지도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장애인고용대책론 |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제반의 시책을 법, 제도, 행정, 정책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
장애인사회교육론 |
장애인에 대한 이해 태도를 함양하고 각종 사회매체로부터 소외된 장애인을 위한 사회교육의 의의·프로그램과 방법들을 이해하고 개발한다. |
장애인재활및복지특강 |
사회복지의 중요한 일분야로서의 장애인 복지 문제를 장애인의 복지시책, 장애인 재활사업 등의 측면에서 이해한다. |
장애인직업·진로지도 |
장애인의 요구와 발달 특성에 따른 직업․진로지도내용과 프로그램을 탐색하고, 재활현장에서의 개인, 사회, 직업생활에 필요한 실천적 지도요소를 구조화 내지 분석한다. |
재활의학특강 |
장애인 재활 사업의 첫 단계이며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의료적 재활의 제 원리와 기술 및 방법을 탐구한다. |
직능평가의이론과실제 |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평가에 관한 이론적 실제(지필검사, 표본작업평가, 현장실습평가, 직무분석)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제적 기능을 익힌다. |
직업재활방법특강 |
직업재활이 제 방법 및 기법(케이스워크 방법, 직업평가기술, 상담방법, 직업정치기술, 지역사회 협력자원)을 익힌다. |
직업재활상담 |
장애인 직업재활상담의 제기법과 프로그램, 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직업배치, 추수지도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직업재활세미나 |
직업재활의 중요한 관심영역을 중심테마로 하여 세미나 발표 및 토론을 통해 장애인 직업재활의 전문지식을 넓힌다. |
직업재활연구 |
실제로 재활현장에서 접하는 대상자를 현장과 강의실에서 개별 연구함과 아울러 직업재활연구 방법과 지식을 터득한다. |
전환교육연구 |
이 과목은 발달장애학생의 생애교육적 관점에서 그들의 지역사회 적응을 이루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어떻게 지원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교육과정, 모형, 프로그램, 협력 등 국내외 기관과 선행연구를 통해 다룬다. |
직업교육세미나 |
이 과목은 발달장애학생의 직업교육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발달장애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직업교육과정 내용과 직업교사의 현장 적용을 위한 직업교육방법론을 다룬다. |
직업재활특강 |
직업재활의 최근 이론 및 실제를 선진제국, 특히 선진복지국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