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1.학과소개
전공소개
스포츠·정형물리치료전공은 스포츠의 다양화와 국민생활의 향상, 여가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스포츠 손상과 근골격계 질환이 증가되고 있어 그 예방과 치료에 대한 전문 영역으로써 깊이 있고 체계적인 학문의 탐구를 요하는 분야이다.
그래서 본 대학원 과정에서는 물리치료학을 바탕으로 스포츠·정형물리치료에 필요한 학문적인 기틀을 마련하고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질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 등 연구에 중점을 두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와 새로운 치료 기법들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교육내용
스포츠손상에 대한 치료 접근과 연부조직의 손상을 치료하고 급성, 만성 통증을 제거하여 기능적인 운동의 획득 및 스포츠 현장에서 최대의 컨디션을 도모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 연혁
1999.03.01. 재활과학대학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전공 신설
2001.10.09. 재활과학대학원 재활과학과 스포츠·정형물리치료전공 신설
2004.03.01. 재활과학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전공, 스포츠·정형물리치료전공 명칭 변경
나. 교육목표
스포츠손상과 관련된 최신 치료기법을 연구하고, 학습하여 임상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근거중심의 다양한 정형물리치료접근법을 연구하여 근골격계질환의 임상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스포츠물리치료와 정형물리치료분야의 연구자로 임상물리치료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다. 교수명단
김태호 |
연구실 |
053-850-4354 |
|
|
|
|
관심분야 |
연구방법 |
|
|
산업체물리치료 |
|
|
재활의료기기 |
|
|
고령친화산업 사용성평가체계 |
|
|
Movement Analysis |
|
|
Movement Impairment Syndrome |
|
|
|
|
경력 |
前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물리치료사(1996-2004) |
|
|
前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조교수(2004-2012) |
|
|
KEMA학회 (Kinetic Exercise based on Movement Analysis) 학회장 |
|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이사 |
|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이사 |
|
|
대한통합의학회 부회장 |
|
|
안전보건공단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교육강사 |
|
|
산업체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교육강사 및 프로그램 운영 |
|
|
중소기업청 재활의료기기 및 의료로봇 R&D |
황보각 |
연구실 |
053-850-4356 |
|
|
|
|
관심분야 |
운동치료학 |
|
|
|
|
경력 |
저서 -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뇌졸중재활" "휠체어개론"외 다수 |
|
|
논문 - "GAITRite시스템 분석을 통한 젊은층과 노년층의 보행특성 비교" 외 다수 |
김경 |
연구실 |
053-850-4351 |
|
|
|
|
관심분야 |
물리치료 측정 및 평가 |
|
|
|
|
경력 |
저서 - "심폐물리치료학" "보건통계학" "전기치료학"외 다수 |
|
|
논문 - 복식호흡이 요통환자의 체간근육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외 다수 |
김명권 |
연구실 |
053-850-4352 |
|
|
|
|
관심분야 |
신경계 물리치료 |
|
|
근골격계 물리치료 |
|
|
재활의료기기 |
|
|
|
|
경력 |
前 대전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물리치료사 |
|
|
前 대전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사 |
|
|
前 영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
|
|
대한물리의학회 이사 |
|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이사 |
|
|
대한전정물리치료학회 이사 |
|
|
임상발란스테이핑물리치료학회 이사 |
|
|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평가위원 |
|
|
근골격계 질환 예방 교육 강사 |
|
|
저서 - "근육학" "임상운동학" "물리치료학개론" 외 다수 |
|
|
논문 -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거울치료가 미치는 영향" 외 다수 |
전덕훈 |
연구실 |
053-850-4355 |
|
|
|
|
|
|
관심분야 |
pain control |
|
|
|
척추통증재활 |
|
|
|
의료빅테이터 예방재활학 |
|
|
|
|
|
|
경력 |
前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
|
|
|
前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임상연구원 |
|
|
|
前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교환교수
|
|
|
|
|
가. 연구 및 공통, 보충과목
구분 |
교과목 |
영문명 |
학점 |
시간 |
연구 |
개별연구지도 |
Independent Research |
1 |
1 |
운동생리학특론 |
Advanced Exercise Physiology |
2 |
2 |
|
공통 |
신경과학론 |
Neuroscience |
2 |
2 |
연구방법및통계 |
Advanced Study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
2 |
2 |
|
보충 |
아동운동재활학 |
Rehabilitation of Pediatric Exercise |
3 |
3 |
물리치료학원론 |
Introduction of Physical Therapy |
3 |
3 |
|
해부학 |
Anatomy |
2 |
2 |
|
병리학 |
Pathology |
2 |
2 |
|
운동치료학 |
Therapeutic Exercise |
2 |
2 |
|
보장구학 |
Orthotics and Prosthetics |
2 |
2 |
|
임상물리치료학 |
Clinical Physical Therapy |
2 |
2 |
|
전기치료학 |
Electrotherapy |
2 |
2 |
|
운동생리학 |
Exercise physiology |
2 |
2 |
|
기능해부학 |
Functional anatomy |
3 |
3 |
나. 전공
구분 |
교과목 |
영문명 |
학점 |
시간 |
전공 |
통증관리 |
Pain Management |
2 |
2 |
스트레스관리 |
Stress Management |
2 |
2 |
|
카이로프락틱(Ⅰ) |
Chiropractic(Ⅰ) |
2 |
2 |
|
카이로프락틱(Ⅱ) |
Chiropractic(Ⅱ) |
2 |
2 |
|
스포츠마사지(Ⅰ) |
Sports Massage(Ⅰ) |
2 |
2 |
|
스포츠마사지(Ⅱ) |
Sports Massage(Ⅱ) |
2 |
2 |
|
관절형태학 |
Joint Mophology |
2 |
2 |
|
스포츠물리치료 |
Sports Physical Therapy |
2 |
2 |
|
정형물리치료특론(Ⅰ) |
Orthopaedic Manual Physical Therapy(Ⅰ) |
2 |
2 |
|
정형물리치료특론(Ⅱ) |
Orthopaedic Manual Physical Therapy(Ⅱ) |
2 |
2 |
|
정형물리치료진단 |
Diagnosis of Orthopa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2 |
2 |
|
근전도연습 |
Study of Electromyography |
2 |
2 |
|
생역학특론 |
Advanced Biomechnics |
2 |
2 |
가. 연구 및 공통, 보충과목
구분 |
과목명 |
교과목 개요 |
연구 |
개별연구지도 |
학위논문을 위해 연구의 개념과 논문작성을 위한 주제, 연구방법, 측정장비, 통계 등을 개인별로 지도받아 학위논문을 완성할 수 있게 한다. |
운동생리학특론 |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개념과 에너지의 생성과 이용, 피로의 발생과 회복과정 그리고 신경과 근육의 운동생리를 다루는 과목이다. |
|
공통 |
신경과학론 |
재활전문가로서 물리치료사는 신경계 계통의 질병에 대한 정확한 신경해부학적, 신경생리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질병을 정확하게 이해해야한다.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 질환에 대해 학습하고, 관련질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연구방법및통계 |
재활에 관련된 전문 논문을 이해하고, 재활과학연구의 방법과 각종 자료 통계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통계방법과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
보충 |
아동운동재활학 |
물리치료대상자 중 소아 연령층에 해당하는 질환과 치료에 대하여 운동발달, 영아와 소아 발달 검사, 신생아 발달, 영아와 소아의 위험 인자, 뇌성마비와 이분척추아에 대한 물리치료, 화상아의 재활치료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케 한다. |
물리치료학원론 |
물리치료학에 포함되는 역사, 인체해부, 일반적인 운동학, 정형계물리치료, 운동치료, 신경계물리치료, 전기광선, 견인치료 및 맛사지, 보행과 이동, 보장구 및 의수족 일반적인 평가 등에 관한 개괄적인 지식을 소개 전달한다. |
|
해부학 |
인체의 각부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인 골격계, 관절계, 근육계, 호흡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비뇨기계, 신경계, 감각기계, 내분비계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및 기능 등을 교육한다. 근육, 관절, 인대등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해서 학습한다. |
|
병리학 |
정상과 변형세포, 세포 손상과 세포사, 염증, 손상후 회복, 감염성 질병, 유체 및 혈류 유동성 전이, 신생종, 면역계의 질병, 유전성 질환, 근골격계 등의 전반적인 병리학적 이해와 각 장기별 질병에 관한 현상학적 고찰을 다룬다. |
|
운동치료학 |
운동치료학(therapeutic exercise)이란 운동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학문으로, 신체의 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수행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삶의 질을 높여준다. 주요 목적은 현대생활의 관점에서 볼 때 근력의 강화, 지구력과 심혈관 능력 증진, 운동성과 유연성, 안정성, 이완, 협응력, 균형능력, 기능적인 세기와 숙련도를 개발, 향상, 회복 혹은 유지뿐만 아니라 운동기능 이상의 예방을 포함한다 |
|
보장구학 |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를 보조기라고 하며, 이런 보조장치에 관하여 연구하는 분야를 보장구학(orthotics)이라고 한다. 정상과 비정상 보행의 분석, 해부학과 분류법, 보조기, 부목, 의자차, 목발, 지팡이, 특별한 신발-변경을 소개하고 보조기와 의수족에 관련된 상지와 하지, 체간의 보장구의 사용과 종류를 다룬다. |
|
임상물리치료학 |
임상물리치료학은 질병 원인, 골절, 탈구, 연부조직 손상, 관절 질환의 대사, 퇴행성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대사성 관절염, 신근염, 호흡계 질환의 소개, 마성 폐쇄 순환 장애, 심장 질환 등을 다룬다. 다양한 질환의 물리치료적 접근 방법을 학습한다. |
|
전기치료학 |
전기치료학은 기원전 이전부터 사용되어온 학문 중 하나로 탈 신경근의 재교육, 관절운동범위 증진, 수의운동 조절의 촉진, 위축 및 약화된 근육의 근력 회복 및 강화, 근 경축 및 경련성 완화, 구축 교정, 혈류량 증진, 배뇨장애의 개선, 보장구 대치, 이완, 부종 치료, 골절 치유, 조직 및 창상 치유 촉진, 통증 완화 등의 목적으로 매우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치료 대상, 질환별, 목적, 특성에 따라 신경근 전기 자극(NMES), 근육 전기 자극(EMS), 기능적 전기 자극(FES), 경피 신경 전기 자극(TENS), 고전압 맥동 전류 자극(HVPC), 간섭 전류 자극(IFC), 러시아 전류 자극(RC)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내용을 학습한다. |
|
운동생리학 |
운동생리학은 단시간 혹은 장시간의 운동자극에 대한 인체 반응 및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써 스포츠과학(sports science)의 중요한 분야를 이루는 학문이다. 인체의 운동에 이용되는 에너지의 발생과 운동에 따른 효율적인 이용을 이해하고 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피로의 예방과 관리를 알게 한다. |
|
기능해부학 |
인체의 역학적 움직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운동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요소인 관절계, 골격계, 신경계, 근육계 등의 각각의 명칭을 알아보고 상호간 기능에 대해서 이해함으로써 인체의 운동 특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
나. 전공
구분 |
과목명 |
교과목 개요 |
전공 |
통증관리 |
통증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평가 및 관리 기법을 연구한다. |
스트레스관리 |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체계적인 주요 기법을 연구한다. |
|
카이로프락틱(Ⅰ) |
척추교정기법인 카이로프락틱의 치료 원리를 학습하고,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치료기법을 학습한다. |
|
카이로프락틱(Ⅱ) |
||
스포츠마사지(Ⅰ) |
스포츠 현장에서 필요한 경기 전, 경기 후, 경기간 등에 필요한 컨디션 조절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치료적 마사지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
스포츠마사지(Ⅱ) |
||
관절형태학 |
관절의 형태와 운동, 조직의 손상과 회복, 염증성 변화에 관해 연구한다. |
|
스포츠물리치료 |
스포츠 손상에 대한 물리치료와 예방법 등을 통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관리에 대해 연구한다. |
|
정형물리치료특론(Ⅰ) |
관절, 뼈, 근육, 신경, 결합조직 등 연부조직에 대한 치료 접근 및 조절을 연구한다. |
|
정형물리치료특론(Ⅱ) |
||
정형물리치료진단 |
정형물리치료를 위한 질병의 양상과 메카니즘을 연구한다. |
|
근전도연습 |
근전도계의 원리, 근전도를 이용한 신경, 근육의 변성 등에 관한 연구를 한다. |
|
생역학특론 |
운동 중 체간과 분절, 뼈와 관절 등의 운동학과 관절면의 운동을 연구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