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학전공은 치료적 목적(inherent therapeutic properties)에 맞는 작업 활동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를 감소, 교정, 예방하여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일상생활 동작 및 사회생활의 수행 능력을 회복, 증진, 강화시켜주는 전문영역으로 깊이 있는 학문의 탐구를 요하는 분야이다.
본 대학원 과정에서는 학부 과정에서 이수한 작업치료 교과목을 더욱 심화하고, 작업치료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질적인 교육과 원격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연구·개발에도 중점을 두어 운영함으로써 이 분야의 지도적 자질을 갖춘 실제적이고 전문화된 고급 작업치료 전문가를 양성한다.
본 대학원 과정에서는 학부 과정에서 이수한 작업치료 교과목을 더욱 심화하고, 작업치료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질적인 교육과 원격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연구·개발에도 중점을 두어 운영함으로써 이 분야의 지도적 자질을 갖춘 실제적이고 전문화된 고급 작업치료 전문가를 양성한다.
연혁
1992년 3월에 재활과학대학원 재활과학과(작업치료전공)이 설치되었다.
교육목표 (교육내용)
작업치료전공 개설취지 및 교육과정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교육한다.
첫째, 인간중심주의(휴머니즘)에 입각한 인성교육을 중시한 전인교육 실시.
둘째, 작업치료의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나아가는 선진작업치료 교육실시.
셋째, 우리나라 작업치료분야를 선도하기위한 지도적 자질 함양.
교수명단
김환 | 연구실 | 053-850-4392 |
관심분야 | 근거중심 신경계재활 작업과학 재활과 평화연구 | |
경력 | Work Ability 학회장 한국작업과학회 편집부회장 사)남북장애인치료지원협의체 연구위원 | |
이선욱 | 연구실 | 053-850-4393 |
관심분야 | Use of theory among practitioners in practice Occupation-focused and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search | |
경력 | MOHOIRM center-korea(MOHO & IRM 비영리연구기관장, 2013-現)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박사 후 연구원, 2010-2012) 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연구원, 2004-2010) 서울아산병원 성인작업치료(작업치료사, 2001-2002) | |
이선민 | 연구실 | 053-850-4394 |
관심분야 | 신경과학(neuroscience)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 | |
경력 | 의료법인 가천의료재단 한솔병원, 2001-2002 충남 고령친화 RIS 사업단 책임연구원 2005-2006 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책임연구원, 2006-2007 영동대학교 고령친화클러스터 사업단 전임교수, 2007-2008 동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2008-2014 대구대학교 재활과학원 재활임상센터소장(現) | |
이혜림 | 연구실 | 053-850-4395 |
관심분야 | 아동작업치료학 아동검사 감각통합치료 | |
경력 | 2004~2008 창원홍익재활병원 작업치료사 2008~2010 부산좋은문화병원 작업치료사 2011~2018 전남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조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