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애인의 재활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직업적·경제적 가용능력을 최대한 회복시켜 장애인이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비장애인과 동일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있다. 장애인들의 직업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직업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뒤따라야 한다. 장애인의 직업 욕구와 개인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지며, 장애인의 직업 능력과 사업장 환경 등에 대한 직업 평가를 실시하고, 개인의 욕구와 필요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별화된 직업 재활 계획서 또는 고용 계획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 개별화된 계획서에 따라 직업 적응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거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훈련을 실시하게 되며, 보호고용이나 지원 고용과 같은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과정은 다양한 직업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자질을 갖춘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직업재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적 소양을 갖춘 직업상담사, 직업평가사, 직업훈련교사 등의 전문인을 배출하고자한다.

연혁

2010년대

2000년대

1990년대

1980년대

교육목표

직업재활분야의 다양한 전문인 양성

재활 영역에 있어서 폭넓은 경험을 갖춘 재활전문가 양성

교수명단

이달엽연구실053-850-4314
관심분야직업평가
직업평가도구개발과 표준화
비폭력위기중재
의료재활
산재장애인의 고용 및 재활
경력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이사
한국직업재활학회 회장
한국직업평가학회 회장
나운환연구실053-850-4311
관심분야재활행정 및 정책, 상담
경력한국직업재활사협회 회장
한국직업재활학회 회장
(사)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회장
(사)대구직업재활협회 이사
(사)가은누리 이사
RI Korea 부의장
세계 RIF 이사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조정위원회 실무위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운영위원 및 자문위원
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촉진위원
국가인권위원회
노동부 자문위원
국토해양부 재활시설운영위원회 의원
행정안전부 광역자치단체 평가위원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이동편의 증진위원
조성재연구실053-850-4315
관심분야장애인상담
장애인정책
시각장애인 전자도서개발
시각장애인 고용 및 재활
경력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
한국시각장애교육, 재활학회 편집위원
근로복지공단 재활상담 수퍼바이저
Good Job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평가도구 개발 자문위원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 연구회 연구위원
한국직업재활학회 상임이사
한국직업재활학회 편집위원
남해장애인종합복지관 자문위원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장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책자문위원
박정식연구실053-850-4316
관심분야전환교육
직업교육
장애인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경력한국직업재활학회 이사
한국장애인고용안정위원회 위원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상임이사
RI Korea 직업분과 위원
대구 새길직업전문학교장
K-PACE 센터 소장
교수명단